환율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궁금해 졌다.
환율이 올라가면 즐거워하는 사람도 있고
또 힘들어하는 사람이 있다.
환율이 과연 어떻게 결정되는지에 대해 알아보자
먼저 환율[exchange rate] 이란?
한 국가의 화폐와 외국화폐와의 교환비용 즉 화폐간
교환 비용을 말한다. 간단하게 이야기 하면 우리나라 돈의 가치를
의미 한다. 두화폐의 상대적 가치를 나타내며 각 나라의 경제 사정
에 따라 국제 경제의 흐름에 따라 매일 조금씩 바뀐다.
예를 들 1달러당 원화 환율이 1300원이라는 말은 1달러를 사기 위해서
1300원을 지불 해야 한다는 뜻이다.
환율이 올라가면 우리나라 돈의 가치는 떨어진다.
환율이 내려가면 우리나라 돈의 가치가 올라간다.
그런데 환율이 왜 올라가고 내려가지?
이것도 시장에서 다른 재화 ,서비스와 똑같은 원리가 적용된다.
달러가 많이 공급되면 달러가 시중에 풍성하다.
그러면 환율이 어떻게 될까?
달러가 풍성해지고 달러공급이 늘어나면
공급이 올라가면 가치는 떨어진다.
적은것이 항상 가치가 있듯이 희소한 것이 가치가 있다.
다이아몬드가 왜 비쌀까?
다이아몬드가 넘쳐난다고 하면 가격이 싸다.
달러도 마찬가지다.
달러공급이 올라가면 환율은 떨어지고 원화가치는 올라간다.
그러면 달러 공급이 언제 늘어날까?
예를 들어 우리나라가 수출을 많이 하고 수입은 적게하면 흑자가 난다.
흑자가 나면 우리나라로 달러가 많이 들어와서 달러가 넘쳐난다.
무역수지와 경상수지 란?
무역수지는 상품의 수출과 수입의 차이이며 수출이 수입보다 많으면
흑자가 된다.
경상수지는 무역수지에 관광,운송,보험 등 무역외 수지를 포함한것으로
한 나라 경제의 대외건전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다.
달러 가치가 떨어지면 달러를 갖고 있는 사람들은 소비여력이 줄어들지만
원화를 갖고있는 사람들은 신이 난다.
여행갈때도 외국에 가면 한국보다 물건이 싼것 같고
우리가 외국에서 수입하는 것들을 보면
원유를 많이 수입한다.
예를 들어 원유가격도 환율이 1300원일 때는 1300원에 들어오지만
달러가치가 떨어져서 1200원이 되면 1200원에 들어온다.
수입 물가가 저렴해 진다.
명품 좋아하시는 분들은 환율이 내려가면 당연히 명품 가격도 떨어진다.
모든 수입 제품의 가격이 떨어진다.
반대로 수출하는건 어떻게 될까?
수출 상품의 국제 가격(달러표시)가 일정하다고 가정할때 환율이 내려가면
똑같은 원화로 환산한 수출대금이 줄어든다. 그만큼 수출품의 가격 경쟁력
도 떨어진다.
달러가치가 올라가면 이 모든 것들이 정반대가 된다.
환율이 올라가면 수입제품은 가격이 올라가고
수출제품은 해외에서 가격이 싸지니까 수출 경쟁력이 더 높아진다.
또 해외에 자녀를 두고 계신분은 환율이 내려가면
원화가치가 높아지니까 송금할 때 돈이 적게 든다.
환율이 올라가면 송금할때 돈이 더 들어간다.
환율은 우리나라 돈의 가치 달러가치를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다.
환율도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된다.
달러가 우리나라 외환시장에 많이 들어오면 달러가치는 내려가고
달러가 귀해지면 환율은 올라가게 된다.
항상 국제적으로 긴장이 될때는 환율이 올라간다.
남북 간에도 긴장될 때는 환율이 당연히 올라간다.
환율도 역시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결정 되는 것이다.
절약의 모순 (0) | 2020.04.09 |
---|---|
복리의 마법 (0) | 2020.04.07 |
삼성전자 주식이 광풍이구나 (2) | 2020.03.27 |
GDP,GNP차이 (0) | 2020.03.26 |
경제가 움직이는 원리 (0) | 2020.03.25 |
댓글 영역